교육

교실 공간 배치가 의사소통과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글을써보려는사람 2025. 2. 11. 10:31
728x90

 
 
 

공간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노리나 허츠는 <고립의 시대>에서 공간 혁신을 통한 유대감 형성의 사례로 바르셀로나시의 슈퍼 블록을 언급합니다. 슈퍼 블록은 도시계획가 살바도르 루에다가 추진하여 2016년 도입된 도시 계획 사업으로, 도로에 차량을 통제하고 놀이터, 공원, 노천 공연장 등의 친교를 나눌 수 있는 공동 공간을 조성한 사업이라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동아일보

 
 
차량 통제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통근 거리가 3배로 늘었고, 물류 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처음에는 반대가 많았다고 하네요. 1시간 걸리던 통근 시간이 3시간으로 늘어난다면 기뻐할 사람이 어디에 있을까요. 하지만 결과적으로 슈퍼블록에서는 도보와 자전거 이용이 각각 10%와 30%씩 증가했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바르셀로나 시민들은 이웃과 공간을 재발견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또한 노리나 허츠 박사는 교통량이 적은 거리에 사는 사람이 교통량이 많은 거리에 사는 사람보다 사회적 관계가 3배 더 많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합니다. 
 
더 느린 방식으로 서로를 만나고 소통하면서 타인을 알아가게 된다면, 타인과 자신의 공통점을 더 많이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유대감을 느끼게 될 확률도 높아지겠네요. 고립감을 느끼는 사람은 적어질 테고요.
 
 
 
한편 천장이 높은 곳에서 창의력이 발현되기 쉽다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들은 기억도 나네요.
 
https://v.daum.net/v/20150604090237883

[똑 기자 꿀 정보] 천장 높으면 자녀들 창의력도 '쑥'

<앵커 멘트>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들이 성공한 이유가 뭘까요?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창의력을 꼽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그래서인지 최근에는 자녀들의 창의력을

v.daum.net

 
 
어두운 공간에 색을 입히면 범죄율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많이 있는 것 같고요.
 
https://v.daum.net/v/20140402200206725

어두운 골목길에 색을 입혔더니..범죄율 감소

【 앵커멘트 】CCTV가 달린 전봇대를 밝게 칠해 눈에 확 띄게 하는 것만으로도 범죄를 막는 효과가 크다고 하는데요.어두운 골목길에 디자인을 더해 예뻐지고 안전해진 동네를 박유영 기자가 다

v.daum.net

 
그러고보면 공간은 소통구조, 유대감, 사고력, 심리 등 우리에게 아주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봅니다.
 
 
 

공간을 통한 배움

 
이렇게 공간 디자인을 통해 물리적 접촉의 기회를 의도적으로 높이고, "연대 의식"을 함양할 방안을 고민해 본다면 어떨까요? 
 
이미지를 보면서 생각해 보죠. 다음은 학생들이 시험을 볼 때 교실 좌석 배치도입니다. 코로나 시기에는 일상적인 좌석 배치도였지요.

https://blog.naver.com/younheesam/223006752482

 
위의 공간에서 학생들의 몸이 향하고 있는 방향과 물리적 거리를 화살표로 그려 보실까요? 모든 학생들의 시선이 앞을 향하는 것이 '정상적인' 구조이고, 옆을 보거나 뒤를 보는 것은 교사를 향하지 '않는' 모양이 됩니다. (이미지에는 책상이 크게 그려져 있지만) 실제 분단과 분단 사이의 간격을 생각할 때 학생과 학생 사이의 물리적 거리도 상당히 넓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교실 배치는 교사에서 학생 무리의 방향으로 향하는 단방향 소통이나, 교사와 학생 사이의 개별적 의사소통에 적합한 구조이며, 학생 간 의사소통을 사실상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교실 상황에서 가장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짝꿍이 있고 분단이 나뉘어 있는 교실 배치도입니다. 교탁이 칠판 앞 정중앙에 위치한 경우도 많이 있지요.
 

https://blog.naver.com/kidsyoga/223017520110

 
이 경우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 소통 방식을 화살표로 상상해 보시죠. 직전의 구조일 때보다 짝꿍과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졌기 때문에 학생 간 상호작용이 조금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겠네요.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뒤에 있는 학생과 상호작용 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등지는' 자세를 해야 합니다. 게다가 학급 학생 수가 홀수인 경우 어느 한 학생은 '소통할 짝꿍이 없는' 상태가 됩니다. 한 개밖에 없는 책상은 미관상의 이유 등으로 교실 중앙이 아닌 뒤편에 배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맨 뒤에 홀로 앉은 학생은 물리적으로 '고립된' 상태가 될 수밖에 없겠네요. 물리적 고립은 필연적으로 소통의 결여라는 결과를 낳을 테고요. 학급 정원이 짝수이더라도 개인 사정으로 인해 짝꿍이 결석하는 경우 남겨진 학생은 외톨이의 경험을 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다음은 'ㄷ'자 교실 배치도입니다. 학생과 학생 간 물리적 거리가 아주 많이 줄어들었네요. 가상의 화살표를 그려보면, 학생들은 교사를 외면하지 않고도 옆, 앞, 대각선 학생들과 소통하게 됩니다. 뒤 학생을 바라보고 소통을 시도할 때에도 교사를 등지는 방향이 아닌 '교사가 있는' 방향으로 몸을 돌려 뒤 학생을 바라보는 방향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다른 선생님의 블로그에서 발췌하였지만) 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교실 배치도이기도 합니다.



https://blog.naver.com/gaulee161001/223127786279

 
 
이렇게 책상을 배치하는 경우 서로 눈을 마주치고 떠들기만 할 것 같은 생각도 드실 것 같습니다. 사실 그런 순간도 분명히 있지만 사실 반대로 서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대놓고 떠들거나 심지어 엎드려 자기 어려운 지점도 있습니다.(앞을 바라보는 교실 형태의 경우 엎드려 자고 싶을 때 학생은 선생님의 눈길만 피하면 되지만 ㄷ자 배열의 경우 앞에서 쳐다보는 친구들의 눈도 피해야 하는 것이죠. 물론 이러한 교실 배치 환경에서 모두 함께 곯아 떨어지는 경우도 있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므로 이 글에서 다루지 않기로 합니다.) 'ㄷ'자 책상 배열은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물리적 구조를 조성하기 때문에 학생과 학생이 눈을 쳐다보면서 협력적 배움을 하기 쉬워집니다.
 
한편 위의 교실 배치도는 학생들이 중간에 일어나서 멀리 앉아 있는 학생과 교류를 하거나, 화장실에 가는 등 자리를 이동하기가 쉽지 않겠지요. 그래서 다음의 사진과 같이 학생들이 마주보도록 배열하되 사이사이에 통로를 만드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이 경우 교실 가운데 ㄷ자를 그리고 있는 학생들이 책상을 둘씩 서로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려 앉으면 자연스럽게 모둠별 책상이 만들어집니다. 게다가 이렇게 책상을 배열하면 교사가 가운데 공간으로 들어가 맨 뒤의 학생과도 물리적으로 가깝게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러한 교실 배치는 원활한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https://blog.naver.com/younheesam/223368161602

 
 
 
 
그런가하면 아래의 사진은 ㄷ자 책상 배열의 변형 형태인 U자 책상 배열입니다. 선생님이 앞에서 스크린에 교육자료를 띄운 상태에서 수업을 하는 경우의 불편함을 막기 위한 대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크린 바로 앞에 앉은 학생들이 몸을 비틀어 교실 전면을 바라보아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경우 교사와 학생의 물리적 거리를 좁히는 장점은 유지되나, 학생 상호 의사소통은 두 번째에 제시한 '짝꿍이 있는' 교실 배치에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일 확률이 있겠네요. (가상의 화살표를 그려본다면 말이지요.)
 

https://blog.naver.com/ccdd9042/223365640452

 
 


 
 
한편 와이파이 형태로 책상을 배열하여 각지지 않은 둥근 공간을 형성하거나, 모둠 책상을 배열할 때 교수자를 향하도록 방사형으로 배열하는 방법도 교수자-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간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꼭 수업 상황이 아니더라도 회의 진행 등 여러 국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공간 배치를 통한 의사소통 촉진 방안에 대한 글을 마무리하고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다음에는 사이버 공간 고립에 대한 글도 써봐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