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2

학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역동 - 관성편

관성, 친구를 보호해주고 싶은 움직임, 혹은 권력에의 동조 일전에 위험을 감지한 반에서, 여러 이상 증상이 나타나 저는 또 한 차례 감정의 동요를 겪었습니다. 왜 친구가 발표할 때 여기서 소곤, 저기서 소곤소곤 하는 소리가 끊임이 없었을까요? 저는, 친구가 발표할 때 딴청을 하는 서로 다른 아이의 이름을 부르며,방금 친구가 뭐라고 발표했지요? 하며 경청을 요청하며 훈계하는 말을 네다섯 번 가량 반복해야 했습니다. 마치 두더지 게임을 하는 것 같았습니다. 심지어, 직전 수업을 포함한 평소 수업 시간에 ‘비웃음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힘 없는 학생까지도 소근거림에 동참하더군요. 학생들이 왜 그랬을까요? 제가 이른 결론은, 힘에 대한 관성 혹은 권력에의 동조가 원인이 되어 나타난 현상입니다. 특정 무리 학생의..

교육 2024.05.08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독서일기 #1

이진경 교수의 를 읽기 시작했다. 꼼짝없이 책에 붙들려 한 시간 이상을 보내야만 했다. 생각의 깊이도, 문체도, 풀어 설명하는 방식도, 심지어 표지까지, 무척 흡인력이 강했기 때문이다. 책의 내용을 잘못 이해하고 동떨어진 생각만을 담아내는 것은 아닐까 조심스럽지만, 책을 이해하려 애쓰고 나름의 관점을 정립하려 분투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생각의 범위와 깊이가 조금이나마 더해지는 것 또한 저자의 집필 목적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일단 저자가 책의 서두에서 밝힌 ‘곁눈질’이란 타인의 시선과 판단(They say)을 계속해서 의식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사유의 중요성에 대한 사유를 다음의 키워드를 따라 풀어나간다. #1. 엄격함과 엄밀함 엄격(嚴格)함은 정해진 틀에 맞춰 바로잡는 것으로, '틀'을 중시하는 폐쇄..

도서 2024.03.0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