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스트 6

<파우스트> 독서일기 #4 - 벌새와 파우스트의 낭만주의

남미 원주민들 사이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이라고 합니다. 안데스 산맥에 커다란 불이 났다고 합니다. 다른 모든 동물들은 도망가는데, 벌새 한 마리가 화재 현장을 떠나지 않고 제법 떨어진 물가에서 물을 날라 불이 난 곳으로 날아와 물을 떨어뜨렸다고 하지요. 벌새의 몸집이 워낙 작아서 벌새가 부리에 머금을 수 있는 물은 한 방울에 불과했는데도 말입니다. 아무리 그렇게 해도 불을 끌 수 없을 텐데 왜 그러느냐는 동물들의 질문에 벌새는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뿐이야.'라고 답하고는 계속해서 물을 날랐다고 하네요. 참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무력감이 심하고 지금 내가 처한 상황에 대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얼마 없어 보일지라도,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일을 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니까..

도서 2025.07.10

<파우스트> 독서일기 #3 - 우울하지 않기 위해 기억하기

기술과 문명의 발전으로 인간은 노동에서 해방되었고, 우리가 누리고 소비할 수 있는 것들은 차고 넘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2012년 기준 전 세계 우울증 환자는 3억 5천만 명이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2018년에는 74만 7천 명에서 2022년 99만 5천 명으로 증가했다고 하고요. 우울증 환자가 이토록 많아지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사는 세상이 예전만큼 행복하게 느껴지지 않다는 뜻이잖아요. 자살률 등 숫자만 보더라도, 단순히 ‘진단을 많이 받아서’ 우울지수가 높아진 것은 아닌 것 같지요.제가 사회학자는 아닙니다만, 저 스스로의 모습만 봐도 마음이 많이 각박해지고 여유가 없어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일례로, 제가 지하철이나 기차에서 무거운 짐을 들고 계신 분께 자리..

일상 2025.07.07

<파우스트> 독서일기 #2 - 파우스트 A to Z

를 재독 하는 중입니다. 책을 읽으며 파우스트에 대해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을 메모해 둔 내용을 글로 남기고자 합니다. 오늘은 파우스트의 지적 겸손, 진실함에의 추구, 그리고 고뇌하는 모습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1. 파우스트는 지적 겸손을 지녔다? 아, 나도 이제 철학, 법학, 의학, 게다가 신학까지 열심히 공부하고 철저히 연구했다. 그 결과가 이 가엾은 바보 꼴이구나. … 그리하여 안 것은,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것뿐이다. (23) 파우스트는 지적 열망을 지닌 사람입니다. 철학, 법학, 의학에서 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섭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열정적인 배움의 여정을 통해 그가 깨닫게 된 것은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사실 뿐입니다. 파우스트의 태도에서 우리는 지적 겸..

도서 2025.06.18

<파우스트> 독서일기 - 시인에 빙의한 괴테

완독을 40페이지 정도 남겨 둔 상태에서 처음으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그 이유는, 시대를 초월하여 칭송받는 대작을 충분히 음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고 싶지는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읽으면서 표시해 두었던 부분을 몇 구절 필사하기 시작하다가, 그것도 충분치 않게 느껴져서 1부 첫 페이지로 돌아왔습니다. 예전 같으면 책의 100쪽가량을 간신히 읽고 다른 책을 펼쳐 들기를 반복하던 저이기에, 447면에서 9면으로 돌아온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겠습니다. 하지만 그간 제법 독서 훈련이 되었는지 이렇게 돌아와도 분명히, 그것도 더 기쁜 마음으로 완독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독서에 대한 효능감이 제법 생긴 상태인 듯하여 기쁜 마음에 사설이 길었습니다. 저는 또 한..

도서 2025.06.07

<파우스트>를 필사하며 인생을 곱씹다

괴테의 에는 인생에 대한 고뇌가 가득 담겨 있네요. 오늘은 필사를 통해 괴테의 고민의 흔적을 따라가 보려 합니다. 인간이란 노력하는 동안 방황하는 법이니라.(21) - 창조주가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에게 용감하게 이 세상에 뛰어들어 모든 지상의 괴로움과 지상의 행복을 달게 받으며, 폭풍우와 싸우면서 난파선의 삐걱대는 소리에도 굽히지 않는 용기를 느낀다. (22) - 파우스트의 독백 하지만 결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는 없어. 정말로 자네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 아니라면 (30) - 파우스트가 조수 바그너에게 그야 더러는 다소의 진실을 알고, 어리석게도 그 넘치는 마음을 은밀하게 간직하지 못하고 느끼는 바, 보는 바를 어리석은 백성에게 밝히 사람들은 예로부터 십자가에 못박히거나 화형을 당하곤 했지..

도서 2025.05.01

허무주의에서 감사로 - 나의 마지막도 프리다 칼로처럼

이번 논술형 문항은, 두 지문의 화자 중 자신과 더 닮아 있는 인물이 누구인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밝힌 후 자신의 성장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문제를 출제하였습니다. 첫 번째 화자는 타인과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는 인물이었고, 두 번째 화자는 아무도 자신을 평범하다고 여기지 않지만 자신만은 스스로가 타인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며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저마다 자신과 조금 더 비슷한 인물을 선택한 후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중학교 때 친구가 자신에게 엄마가 장애인이라고 놀려서 속상했다는 이야기를 털어놓은 학생도 있고, 외모에 대한 놀림을 받을 때마다 겉으로는 웃지만 속으로는 울었다는 이야기, 타인의 눈에 띌까 봐 늘 두렵다는 이야기, 똑똑하지도 않고 노래도 못하고 운동..

일상 2025.04.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