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들고 다니며 읽기에는 버거워 외출 가방에는 송숙희의 을 챙겨 넣었습니다. 저자는 서로 다른 정의를 소개하며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요, 해당 부분을 제 나름대로 재해석한 바를 기록하고자 합니다.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부분을 읽고 내린 제 결론은, 인공지능 시대에 문송(문과여서 죄송)하지 않아도 되겠다는 것이었지요. 첫째, 비판적 사고는 바라보는 행위에서 시작한다 먼저 어원을 분석한 내용을 먼저 소개해 드릴게요. 비판적이라는 의미의 영단어 critical의 어원은 ‘통찰’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critique이라고 합니다. 대상에 대한 깊은 생각의 결과 얻는 것이 비판적 사고인가 봅니다. 또한 저자는 영단어 critique의 의미를 살피며 비판적 사고를 다음의 세 단계로 묘사했습니다. 첫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