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서학습 2

예술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의 가능성

알랭 드 보통의 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모든 위대한 예술가들은 "세상을 자신이 처음 보았을 때보다 더 낫고 더 행복하게 만들고자 하는 갈망"에 사로잡혀 있다. ... 그들의 작품에는 현재의 상황에 대한 항의가 나타나기 마련이고, 이에 따라 우리의 시각을 교정하고, 아름다움을 인식하도록 교육하고, 고통을 이해하거나 감수성에 다시 불을 붙이도록 돕고, 감정이입 능력을 길러주고, 슬픔이나 웃음을 통하여 도덕적인 균형을 다시 잡아주려고 노력하기 마련이다. ... 예술은 "삶의 비평"이다. -알랭 드 보통 164면 위대한 예술작품의 가치는 우리의 가치관, 심미적 감식안, 정서, 공감 능력 및 도덕성에 영향을 주는 데 있다고 합니다. 요즘 학생들과 의 몇 장면을 발췌하여 읽는 중인데요, 다음은 며..

교육 2025.03.26

한국 사회의 갈등을 봉합합시다 #2 -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

지난 글에서는 내집단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경향성이 자칫 무비판적 옹호로 이어질 위험성을 지적하고, 이 과정에서 그릇된 의사결정으로 인한 비용 및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적 마인드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오늘 편 가르기와 혐오의 정치가 한국의 사회문화적 '정서'로 고착화되지 않도록 교육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공감의 부재와 혐오 정치 나의 편이므로 옳을 것이고, 나의 편이 아니므로 틀릴 것이라는 잘못된 전제는 종종 서로 다른 주체나 집단 사이의 합리적이고 융통성있는 대화를 저해합니다. 이는 비단 정치계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가족 친지, 직장 동료, 각종 동호회에서 서로 다른 정치적 이념 및 사상, 및 다양한 견해를 접할 때 우리는 나와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교육 2025.01.0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