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2

이야기와 공감, 논증과 공감

1. 이야기와 공감 왕따의 경험, 외모 지상주의 및 능력주의에 물든 사회 문화 등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졌고, 결과적으로 칭찬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었다는 내용의 글을 본격적으로 분석할 참이었다. 한 아이가 눈과 코가 빨개지면서 화장실에 다녀오겠다고 했다. 아뿔싸. 황급히 나의 이야기를 했다. 왕따의 경험이 얼마나 괴롭고, 또 사람을 신뢰하기 어렵게 만드는지를. 그리고 그게 너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친구들이 나랑 좀 놀아줬으면 좋겠는데 그렇게도 안 놀아주더라. 어느 날은 다 같이 놀다가 친구 집에 가서 물을 마시는데 웬일로,00야, 너 먼저 마셔. 하는 거야. 핵인싸 친구의 친절에 눈물 나게 기뻐하며 물을 받아 마셨는데, 알고 보니 침을 뱉은 물이었대. 아이들의 공감과 연민의 시선이 느껴지기에 이..

도서 2024.06.17

<이처럼 사소한 것들> 독서일기 - 이야기에 대한 성찰

인간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이야기를 사랑한다. 이야기는 우리를 갈망한다. 이야기는 언어와 문화를 전승 및 학습하는 중요한 도구이며, 상호 돌봄 및 공동체 유지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이야기는 우리 삶의 원동력이다. 이야기는 공해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말들을 너무도 쉽게 입에 올린다. 테니스장에서 돌아오신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000씨의 술버릇이 얼마나 고약한지, ***씨 와이프가 얼마나 눈화장을 짙게 하는지, @@@씨의 자녀가 학교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해 말씀하실 때마다 나는 마음 한 켠에서 깊은 공허함을 느꼈던 것 같다. (커서 되돌아보니 그랬던 것 같다는 이야기이고, 과거 십대의 내가 실제로 뒷담화의 현장에서 공허함을 느낄만큼 성숙했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음은..

도서 2024.06.0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