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짚신 장수와 우산 장수, 그리고 창발적 아이디어

글을써보려는사람 2024. 6. 19. 23:39
728x90



1. 비 오는 날에는 짚신 장수인 아들을 걱정하고, 맑은 날에는 우산 장수인 아들을 걱정하던 어머니는,
-> 윤리적 딜레마 상황이다.

2. 비 오는 날에는 우산 장수 아들의 잘됨을, 맑은 날에는 짚신 장수 아들의 성공을 기뻐할 수 있다.
-> 사고의 전환을 통한 딜레마 벗어나기,
혹은 ‘정신승리’ 논증이라고 이름 붙여 본다.

3. 두 아들이 손을 잡고 사업을 하여 우산과 짚신을 함께 판매할 수도 있다.
->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의 시도이다. 역할 분담 및 이익 분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4. 업종을 변경하여 우양산 판매를 시작하자는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다.
-> 제 3의 방법, 즉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여 비가 와도 맑아도 모두 행복할 방안을 모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최종 대안이라기보다 해결해야 할 일련의 문제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먼저, 시장 조사가 필요하다. 인근 우양산 가게 입점 여부 및 우양산에 대한 수요도 조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양산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경우 광고 및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소비자를 설득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 고안을 통한 기존 우산과의 차별화 전략 등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한 부가 작업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또한, 초기 투자 비용, 수지타산에 대한 고려, 업종 변경 행위의 적법성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명확한 상호 이해에 근간을 두고 시작되는 창발적인 사고는, 이성과 합리에 근간을 둔 신중한 접근을 통해 마침내 빛을 발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