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업시간의 국력 낭비를 막기

글을써보려는사람 2025. 3. 14. 22:44
728x90

 
 
 
수업에 들어가니 어느새 서로 친밀해진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와글와글 교제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교제하는 방식이 조금 염려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친구와 이야기를 하다가 시작종이 울린 이후인데도 양치를 하러 간다고 하거나, 어느 한 학생 책상에 욕설을 써놓고 신나게 웃는다거나, ... 아무리 기다려 보아도 수업의 시작을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할 기미가 보이지 않더라고요. 직전 주에 수업 시간을 존중하자며 수업 규칙을 알려준 것이 무색하게 느껴지더라고요. 3월 둘째 주부터요. 속이 상하더군요.

‘조용히 해주세요.'라던가 '선생님과 동시에 말을 하지 말아주세요.'라는 말 대신 오늘은 조금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 보았습니다. 기다림 끝에 모두 조용해졌을 때 작은 소리로 물었습니다.
 

아직 할 이야기가 남아있는 사람이 있나요?

 
 
학생들이 조금 더 조용해졌습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는 것을 감지한 것이지요. 아마 속으로 '혼이 나겠구나' 생각하고 있었을 것 같아요.
 
저는 혼을 내는 대신 판서를 하며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지금 종이 친 지 6분이 지났습니다. (6)
우리 일주일에 몇 번 만나지요? 3번이네요. (6*3)
그리고 한 학기에는 17주 정도의 수업이 이루어집니다. (6*3*17)
두 학기를 함께 하게 되고요. (6*3*17*2)
(잠자코 곱하기를 시작했습니다. 18*34=612)
한 시간에 몇 분이지요? 50분이요. (612/50=약12)

우리는 총 12번 가량의 수업을 덜 한 채로 동일한 평가를 받게 되겠군요.

엄청난 국가적 낭비입니다. 저는 국민이 혈세로 월급을 받는 교육공무원이고, 학교 수업은 공공재입니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여러분이 교육 받아야 할 시간이 허공으로 사라지고 있음에 저는 깊은 슬픔을 느낍니다.

 
 
 
그 어느 누구도 어떤 말도 하지 않는 상태로, 학생들은 학습지에 자신의 생각을 영작하였습니다.
모두들 깊은 생각에 잠긴 것 같았습니다.
 
 
면학 분위기를 해치는 것은 '선생님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가 아닌, '나의 학업성적'에 타격을 입힐 뿐만 아니라 '국가적 손실'을 일으키는 행위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본 것 같습니다. 작은 낭비들이 모여 엄청난 손실을 이룬다는 점도 충격적이라고 생각한 것 같고요.
 
 
이어지는 시간에도 모든 학생들이 잠잠해지고 수업 시작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 보았는데요, 이번에는 2분이 소요되더군요. 그래서 학생들에게 1/3로 줄었노라고 이야기하자 학생들이 안도감이 들었는지 다시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떠드는' 것은 아니었고요, 말 그대로 '불안감의 해소'였던 것 같습니다. 이어지는 수업 활동에 무척 잘 참여하였기 때문이지요.
 
 
모든 것을 '효율성'으로 재단할 수는 없지만, 낭비하거나 버려지고 있던 것들의 소중함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보는 것은 무척 의미 있는 일일 것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문화 등 우리나라의 모든 분야에서요.
 
 
 
나라를 위해 기도합니다. 복되고 평안한 주말 보내셔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