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 2

한국 문화를 꿈꾸다 #2 - 실종된 예의범절, 그리고 웃음과 문학

한국 할머니들은 왜 이렇게 rude해(무례해)?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조카가 한국 방문 중 했다는 말을 전해 듣고 깔깔 웃으면서도 낯 뜨거웠던 적이 있습니다. 아니 동방예의지국에서 무례라뇨? 지하철을 탈 때 밀치고 먼저 타거나 뒷사람이 다가오는 중인데도 문을 잡아주지 않는 등의 상황을 ‘반복적으로’ 맞닥뜨리면서 느낀 좌절감의 표출이었다고 하네요.그러고 보면 유모차를 밀던 시절 아무도 양보해주지 않아서 엘리베이터 줄을 아주 오랫동안 기다린다거나, 쇼핑몰 등에서 앞사람이 통과한 뒤 훌렁 돌진해 오는 미닫이문에 황급히 손을 내밀었던 경험, 혹은 간혹 유모차가 지나갈 수 있도록 문을 잡아주거나 엘리베이터 먼저 타라고 배려해 주시는 분들을 만나면 그토록 감격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미국 문화에 익숙한 조카의 입장에..

교육 2025.02.28

청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방법 5가지

오늘 업무와 관련해서 두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어요. 비교하는 건 안 좋지만 저절로 비교가 될 때가 있잖아요, 왜. 한 분의 강의는 내내 지루하다가 마지막 5분 정도가 들을 만했고요, 한 분은 처음부터 끝까지 대체로 재미있고 유익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가까운 미래에 작은 발표를 한두 개 앞두고 있어서, 오늘 연수를 들으며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방법에 대해 느낀 바를 정리해 보고, 이를 적용하여 발표를 잘 준비하려고 해요. 1. 상투적인 문구는 절대 금지 독자들은 책은 표지 혹은 처음 몇 장을 읽고 더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죠. 시청자들은 처음 몇 분을 보고 방송을 계속 볼지, 채널을 돌릴지를 결정하고요. 그래서 작가는 책의 첫 문장에, 방송인들은 콘티의 초반 3분 정도에 가장 심혈을 기울인다고 하네요..

교육 2023.10.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