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2

알랭 드 보통이 <불안>을 통해 제기한 도덕성에 대한 의문

이 시대의 불안의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 싶어서 한동안 덮어두었던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얼마 전부터 선생님들과 함께 다시 읽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책을 읽으며 도덕성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어 느낀 바를 책에서 발췌한 내용과 함께 기록하려 합니다. 19세기의 도덕성 다음은 앤드루 카네기가 자선행위에 대해 그의 저서 에 기록한 내용이라고 하네요. 이른바 자선행위에 쓰는 1,000달러 가운데 950달러는 차라리 바다에 버리는 것이 낫다. 자선으로 먹여 살리는 주정뱅이 부랑자 또는 무익한 게으름뱅이 하나하나가 이웃을 부도덕하게 감염시킨다. 열심히 일하는 근면한 사람에게 그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더 쉬운 길이 있다고 가르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감정은 적을수록 좋다. 자선 행위로는 개인이든 인..

도서 2024.08.19

도덕성에 대하여

도덕성이 높은 아이가 성공한다는 것을 내 눈으로 학교에서 관찰한 바를 바탕으로 확언할 수는 없다. https://youtu.be/RovxZBbeBb0 다만 수년 전 방영한 ebs 아이의 사생활과 같은 자료에서 도덕성과 학습능력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내용이 나오니 학습능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가보다 하고 잠시 추측해 볼 법도 하나, 반례들을 찾기도 너무나 쉬운 것이 사실이다. 내 허무한 날을 사는 동안 내가 그 모든 일을 살펴보았더니 자기의 의로움에도 불구하고 멸망하는 의인이 있고 자기의 악행에도 불구하고 장수하는 악인이 있으니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도 말며 지나치게 지혜자도 되지 말라 어찌하여 스스로 패망하게 하겠느냐 - 전도서 7:15-16 게다가 인생은 원체 허망한 것이기에 의로운 삶을 살아야..

교육 2024.01.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