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성 3

교사로서 호감도를 높이는 방법

학창 시절 선생님이 싫어서 그 과목도 싫어진 경험 있으신가요? 한편, 선생님이 좋아서 그 과목까지 좋아하게 되었던 경험은요? 저는 둘 다 있었습니다. 대부분 그러실 것 같아요. “인기몰이”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은, 뭐랄까, 본질에서 많이 어긋나겠지만서도, 학생들이 좋아하는 교사의 모습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은 행복한 교직 생활을 위해 고민해 볼만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인기 있는 교사의 특징을 알아보며 더 멋지고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하지요. 1. 젊음 아이들은 자신들과 나이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선생님께 친근함을 느끼게 마련입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그런데 2~30대의 풋풋하고 싱그러운 젊음을 영원히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니 세..

교육 2024.05.26

돌봄이 지능을 향상시킨다? - 공감능력과 전문성

자다가 아이가 우는 소리를 낸다. 이마를 쓰다듬어주고 볼을 부비며 토닥여 주었다. 얼마나 지났을까, 아이가 잠결에 웃는 소리를 낸다. 에서 읽은 내용이 떠오른다. 새끼를 돌보는 기간이 긴 경우 종의 지능이 높다고 한다. 어째서 돌봄을 제공하는 동안 머리가 좋아지는 것일까? 돌보는 것은 타인의 필요를 읽어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주는 행위이다. 다른 개체의 필요를 읽어주면서 사회정서적 능력인 EQ가 향상되고, 각기 다른 상황에 대한 대처 및 해결 방안을 모색하면서 IQ가 향상되기에 돌봄 행위를 통해 전반적 지능이 높아지는 것이리라. 예를 들어 어린 아이의 경우 자신의 필요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기에, 양육자는 아이의 육체 및 심리정서적 필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하고, 아이의 필요를 채워줄 인내심..

교육 2024.02.25

기본기에 충실하면

아파트 단지 내 상가에서 발레를 배우고 있다. 저녁 9시에 시작하는 중급반은 끝나고 집에 오면 10시 20분, 씻으면 11시가 다 되어 저녁 8시면 하품을 시작하는 생활리듬을 지닌 나로서는 영 감당이 안 되기에 8시 초급반으로 옮겼다. 최근에는 새로운 수강생들의 유입으로 해당 수업이 ‘기초반’으로 바뀌어 처음에는 적잖이 실망하고 자존심도 상했다. 이래 봬도 발레만 5년 이상 배웠고, 학부 시절부터 배운 재즈댄스 경력과 교회 워십댄스팀 경력을 합치면 15년가량 춤을 춰온 나인데--심지어 재즈댄스 동아리 활동을 하다 휴학하고 전문가 과정도 수료했고,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문화센터에서 강사 활동도 했다. 공연을 앞두고 24시간 중 18시간을 춤추며 보낸 시기도 있었다--하루아침에 발레 (초급반도 아닌!!) 기..

일상 2023.05.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