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도 양보다 질, 혹은 범위보다 깊이

글을써보려는사람 2024. 1. 7. 17:37
728x90

1. 깊이에 대하여

 

익을

 
 
익다, 영글다, 익숙하다, 완전한 데까지 이르다, 곰곰이, 유심히 등의 의미를 지닌 한자어이다.
 
완숙(完熟), 숙성(熟成), 심사숙고(深思熟考), 숙독(熟讀),  숙의(熟議) 등의 단어에 쓰인다.
 
 
모두가 너무 바쁘고 너무 분산되어 있는 이 시대, 특히 밤 12시 전 주문하면 새벽 7시 전 배송을 보장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한 장소에, 책 한 페이지에, 시 한 줄에 진득하게 머물러 생각에 잠기는 것이 도통 허락되지 않는다.
 
熟의 개념이 우리에게 정말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만 해도 책을 50쪽도 읽지 않고 책에 대한 글을 올리는 만행을 저질러왔기에 할 말은 없다.)
 
 
 

2. 학습의 깊이에 대하여

2.1. 시험범위가 적어도 변별이 가능하다

지난 2학기 기말고사 영어 시험 범위는 교과서 다섯 페이지로 이루어진 1개 단원 읽기 지문과 교과서 학습유인물 3장, 그리고 관련 외부 지문 유인물 4장이 전부였다. 학교에 따라, 담당 교사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영어 시험 범위는 교과서 2~3개 과와 부교재 및 학습유인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시험범위의 양이 매우 적은 축에 속했다.
 
하지만 전교에 만점자는 세 명이었고, 95점 이상 학생은 7명으로, 변별에 문제가 전혀 없었다. (변별에 성공적이었다는 의미의 말을 할 때마다 죄책감이 느껴진다. 이 문제는 다른 글에서 이야기하기로 한다.) 심지어 변별을 쉽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채점의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출제하곤 하는 서논술형 문항 없이 선다형 문항 100%로만 출제된 시험이었다.
 
시험 범위가 2~300쪽에 해당하면 모를까, 소위 '빈 칸 문제'로 대변되는 암기식 문항, 혹은 '내신형' 문항을 출제하면, 이렇게 적은 시험 범위로는 변별이 절대 불가능하다.
 
글쓴이의 의도와 심경을 추론하는 문제, 지문에 제시된 특정 집단의 견해에 반대하는 의견을 고르는 문제, 두 편의 시에 나타난 주제의 차이점 등 고차원적 사고력을 요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출처: pixabay


 논서술형 문항이 포함되었던 지난 중간고사에 비해 시험 평균 점수는 6.9점 하락했다.
(고사기간 마지막날 응시하여 조금 긴장이 풀어졌던 탓도 있기는 할 것이다.)
 
 
 

2.2. 학습의 양이 적으면 깊이 있는 배움이 가능하다

 
시험 문항이 어렵다고 아우성이었고,
한 학생은 영어 시험 끝나자마자 마주친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영어 시험은 철학적이에요.

 
하지만 왜 평소 학습하지도 않은 쌩뚱맞은 내용을 출제하냐고 항의한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시어가 의미하는 바를, 글쓴이가 예술에 대해 던지는 질문과 이에 대한 생각들을, YOLO족인 Sarah에게 교과서 본문의 현자가 해주고 싶어 할 말을, 또 Sarah가 현자에게 해주고 싶을 말을, 죽은 시인의 사회에 나오는 닐의 아버지가 닐을 사랑하는지의 여부와 그 이유를, 수업 시간에 계속해서 함께 고민하고 써왔기 때문이다.
 

출처: pixabay


 
 

3. 아이들을 혹사시키지 말자

 
놀 시간 잘 시간 없이 공부해야만 하는 빡빡한 스케줄에서 아이들을 좀 해방시켜 주면 어떨까.
 
아이들을 혹사시키지 말자, 그러나 잘 훈련하자.
 
 
 
영어 시험이 철학적이고 어렵다는 아이들의 말에, 
 
나는 대답한다.
 

너희는 훌륭한 아이들이어서 그런 문제를 대접 받을 자격이 있어.

 
 
 
버거운 양의 학습 내용을 외우고 또 외워야 하는 시험문제 대신,
 
좀 더 깊이 있게 골똘히 생각하고, 명철하게 판단하며, 자신의 생각을 정립해 나가는 시험문제를 선물로 주자.
 
 
 
자유롭게 공상도 하고, 꿈도 꾸며,
 
세상과 자신을 깊이 있게 탐구할 시간을 좀 허락해 주자.
 
 
 
 
 
 

출처: pixabay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