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40520205040890
서울대판 'N번방' 터졌다…피의자·12명 여성 피해자 모두 동문
'서울대판 N번방' 사건이 나왔다. 10여명이 넘는 피해자와 피의자 모두 서울대 출신으로 확인됐다. '텔레그램'을 통해 디지털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점에서 과거 'N번방 성 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
v.daum.net
인공지능 시대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조금 더 써볼까 하고 책을 뒤적이다가, 기사를 보고 그만 책을 덮었습니다.
우리 시대에 정말 필요한 것은, 인공지능 시대에 직장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일머리나 사고력 그 자체는 아닌 것 같아서요.
학교 교육의 지향점?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의대 지망생들을 위해 과학 수학 과목을 모두 놓지지 않고 수강할 수 있는 교육과정 단위 배당표를 짜는 것도 좋고, 정보화 시대 인공지능 관련 교과를 쫙 깔아 학교의 인지도를 높이고,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하여 개별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고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며 디지털 문해력을 높이자는 것, 다 좋지요.
그런데, 우리 아이들이 여자친구를 계획 살인하는 의대생이 되지는 않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사회의 노오력?
범죄율을 줄이기 위해 어두운 거리의 백열등 색깔의 가로등을 설치하고,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촉법소년 연령을 하향 조정하고, 도시의 치안을 강화하며, 문화예술 교육을 장려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겠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과연, 모든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지금 무엇을 추구하고 있나요?
무엇을 추구해야 마땅한가요?
무엇이 진정 옳은 길인가요?
근심이 깊은 밤입니다.
우리들의 탄식이 기도가 되어 하늘에 상달되기를,
소망합니다.
평안한 밤 보내세요.
https://youtu.be/nDvVC-ZTjFg?si=GAn0VBtxel0iyN2Z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로서 호감도를 높이는 방법 (30) | 2024.05.26 |
---|---|
망한 수업과 원영적 사고 (45) | 2024.05.23 |
<150년 하버드 사고력 수업>과 참회록 (30) | 2024.05.16 |
역할극 수업 진행을 위한 꿀팁 (43) | 2024.05.14 |
신뢰와 문학, 학교 내 갈등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까 (28) | 202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