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95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4 - 인간이란 무엇일까?

#1. 분초사회 지하철 최단 거리인 24번 코스로 가야 하니까 3번에서 내려야 바로 계단으로 연결되고, 환승하러 뛰어가면 바로 15분 도착하는 지하철 탈 수 있으니까 운동화 끈을 단디 매야겠지? 딱히 정해진 약속이 있는 것도 아니고, 누가 쫓아오는 것도 아니지만, 무조건 1분이라도 빨리 가고 싶다. 김난도 외 에 나온, 분초사회의 생활상을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강유미 씨의 영상 속 대사라고 한다. 정말 그렇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조금 더 많이, 조금 더 멀리 도달하고 쟁취하고 끌어모으고 싶어 하는 우리들의 모습, 또 언젠가부터 나의 모습이 된 그 어떤 것이다. 분주하고 바쁘고 정신 없는 이 길의 끝에는 무엇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그나마 방학이자 설연휴를 즐기고 있는 이 시점에 이런 말은 차라리 엄..

교육 2024.02.12

신학기집중준비기간 연수를 준비하며 조직을 고민하다

3월에는 학교 교육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도록, 신학년집중준비기간이 의무화된 지 수년이 지났다. 올해는 내가 행사를 주최하는 역할을 맡았다. 제법 초안이 나오긴 했으나 여전히 밑그림 단계이고, 개인적 회한, 염려 등과 어우러져 마음의 고민이 아주 많은 상태이다. 1. 기존의 논의 위에 무언가 색다르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도 좋지만 그간 쌓아온 것, 혹은 축적된 지혜 위에 논의를 이어가는 것도 중요하다. 역사를 배우면서 깨닫는 점은 인간은 역사를 통해 아무것도 배우지 않는다는 점이라던데(역사를 공부해보지는 않았지만 성경을 읽으며, 또 나 자신을 바라보며 통렬히 느끼게 되는 지점이긴 하다), 아무쪼록 지난날들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기존의 고민과 실패담은 논의의 좋은 시작점이 될 수 있다. 2. 지..

교육 2024.02.10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3 - 비(非)이성적인 교육

#1. 인간은 이성적이다 인간은 지성을 지녔다. 인간은 생각한다. 저명한 철학자와 사상가들이 탄생하고, 심지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어떤 것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마치 조물주처럼. 인간은 놀라운 존재다. #2. 인간은 이성적이지 않다 김성우 율촌 변호사에 따르면, 어릴 적 오빠 도시락에만 달걀 프라이를 싸준 것이 상속 분쟁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성경 속 가인은 하나님이 아우인 아벨의 제사만 받고 자신의 제사는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동생을 살해했다. 이처럼 한 마디의 말이 평생의 상처로 남기도 하고, 지극히 사소한 어떤 일로 인해 막역한 친구가 등을 돌리는 일도 생긴다. 때로는 동료의 따뜻한 말 한 마디가 고마워서 기꺼이 나의 시간과 물질을 나누기도 한다. 인간 사회라서 가능한 일이다. #3. 마음의 ..

교육 2024.02.08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3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마크 맨슨의 한국 탐방기 영상의 내용을 보며 정리한 내용에 제 생각과 고민을 덧붙여 작성한, 지난 글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제까지는 우울의 문제를 고민해 보았으니, 오늘은 회복을 고민해 보죠.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1 (feat. 마크 맨슨,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하다) (tistory.com)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1 (feat. 마크 맨슨,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하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마크 맨슨의 한국 탐방기를 담은 영상에 대한 언론보도가 이어지네요. 이 글은 마크 맨슨의 영상의 내용을 보며 정리한 내용에, 제 생각과 고민을 덧붙여 작성하였습니다. hn47749.tistory.com 4. 회복력 한국인들이 얼마나 자신..

교육 2024.02.06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2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마크 맨슨의 한국 탐방기 영상의 내용을 보며 정리한 내용에 제 생각과 고민을 덧붙여 작성한, 지난 글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1 (feat. 마크 맨슨,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하다) (tistory.com)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1 (feat. 마크 맨슨,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하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마크 맨슨의 한국 탐방기를 담은 영상에 대한 언론보도가 이어지네요. 이 글은 마크 맨슨의 영상의 내용을 보며 정리한 내용에, 제 생각과 고민을 덧붙여 작성하였습니다.hn47749.tistory.com 한국 사회의 주요 키워드 세 가지로 1)완벽주의 및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2)아무리 노력해도 보상받..

교육 2024.02.04

어떤 고요함, 나의 드뷔시

나에게 주어진 시간에 대한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주어졌던 기간, 신문에 줄 긋는 소리, 가습기 소리, 그리고 타자 소리 외에 다른 아무 소리도 들려오지 않던 그 기간에, 고요함에 대한 나의 역치가 상당히 낮아진 것 같다. 이틀만 출근하고 다시 휴일을 맞으니 괜찮겠거니, 했는데, 애를 적잖이 썼던가 보다. 가족을 위한 식사를 준비하고, 자녀의 필요를 채워주고, 빙판길에 넘어져 앓아누우신 시모님을 위해 식료품 쇼핑을 하여 부쳐드리고 나니 토요일의 땅거미가 저만큼 드리우는 시각이 되었고, 나는 그만 우울해졌다. 키 크게 줄넘기 하고 오라며 안 나가겠다는 아이 등을 떠밀어 보내고는, 피아노 앞에 앉았다. 파리에서 머무는 기간 세잔, 시냐크, 쇠라 등 동료들의 영향을 받아 고흐의 그림이 참 밝아졌다고 하던데...

문화 예술 2024.02.03

가장 우울한 나라에서 회복을 고민하기 #1 (feat. 마크 맨슨,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하다)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마크 맨슨의 한국 탐방기를 담은 영상에 대한 언론보도가 이어지네요. 이 글은 마크 맨슨의 영상의 내용을 보며 정리한 내용에, 제 생각과 고민을 덧붙여 작성하였습니다. 1. 완벽주의 스트레스 급속도로 경제 발전을 이룩한 한국인 특유의 강점은 성실성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성실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재능과 강점을 올인하여 최고의 기량을 뽑아내는 완벽주의 성향이 짙다는 것이죠. 100점, 혹은 1등이 아닌 모든 이를 '실패자'로 규정하는 all-or-nothing(전부 아니면 전무, 혹은 모 아니면 도) 문화에서, 국민 대다수가 박탈감과 열패감에 시달린다는 것입니다. 서울대생이 가장 많이 느끼는 정서가 열등감이라고 합니다. 그 훌륭한 학생들이 왜 자부심보다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어야 하느냐는 ..

교육 2024.01.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