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98

교사로서 호감도를 높이는 방법

학창 시절 선생님이 싫어서 그 과목도 싫어진 경험 있으신가요? 한편, 선생님이 좋아서 그 과목까지 좋아하게 되었던 경험은요? 저는 둘 다 있었습니다. 대부분 그러실 것 같아요. “인기몰이”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은, 뭐랄까, 본질에서 많이 어긋나겠지만서도, 학생들이 좋아하는 교사의 모습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은 행복한 교직 생활을 위해 고민해 볼만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인기 있는 교사의 특징을 알아보며 더 멋지고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하지요. 1. 젊음 아이들은 자신들과 나이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선생님께 친근함을 느끼게 마련입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죠. 그런데 2~30대의 풋풋하고 싱그러운 젊음을 영원히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니 세..

교육 2024.05.26

교사와 딸의 대화

#1. 조롱이 아니야 작년과 올해 스승의 날 캐리커처 그리기 행사에서 나를 그려준 학생들의 작품 중 하나를 보며, 딸이 묻는다. 엄마, 이 정도면 거의 조롱하기 위해 그린 거 아니에요? 아니야. 엄마를 그려주고 싶어서 애써준 그 마음이 얼마나 고마운데. 보이는 게 다가 아니야. 이어서 말했다. 작년에 어떤 오빠는, 본인이 너무 못 그렸다고 생각했는지 엄마의 이름도 안 썼더라고. 그런데 엄마는 알았지. 얼마나 고마웠는지 몰라. 아이가 잠시 생각에 잠겼다. #2. 영어 수업이 싫어서가 아니야 그래도 전 영어 수업이 좋습니다. 선생님의 수업할 때의 밝으신 모습이 곧 쳐자빠져자는 저를 깨워줍니다. 제가 수업 때 자는 건 영어수업이 싫어서가 아닌 인생이 피곤해서라는 변명은 지금이라도 해봅니다. 사실 전 아직 이 ..

일상 2024.05.24

망한 수업과 원영적 사고

오늘은 수업을 망쳤습니다. 본문에 대한 조금 더 밀도 있는 이해를 하게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난 시간 학습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분석하고, 판단의 근거를 본문에서 찾는 활동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영 찝찝한 심정으로 교실 문을 나섰지요. 수업이 불만족스러웠던 요인을 세 가지로 분석해 보고, 이를 학습력 제고 측면에서도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수업 불만족 요인 1.1. 난도 일단 단어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한 여남은 개의 단어들이 좀 어려웠나 봅니다. 심지어 ‘직관적이다’와 같이 한글 뜻이 이해가 안 되는 단어도 섞여 있어서 힘들었다는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아이들의 어휘력과 관련해서는 나중에 이야기할 기회가 있다면 하기로 하지요.) 1.2. 시간관리 시간 관리도 문제였습니다. 전반..

교육 2024.05.23

강형욱씨 소식이 그토록 충격적인 이유(feat. 우리는 영웅을 갈망한다)

https://v.daum.net/v/20240522175044814?x_trkm=t “고객은 병X들”→CCTV로 직원 감시→화장실 가는 것도 통제, 강형욱 선 넘은 갑질논란[MD이슈]([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개통령’ 강형욱의 갑질논란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고객을 병X들이라고 칭하는가 하면, CCTV로 직원들을 밀착 감시하는 것도 모자라 화장실 가는 것도 통제하는 v.daum.net 인터넷 메인 기사가 연일 강형욱씨 이야기로 도배 되고 있네요. 강형욱씨와 함께 일했던 직원들의 폭로가 왜 이토록 충격적인 것일까요? 갑질 의혹에 둘러싸인 유명인이나 사장의 이야기는 우리들이 하루이틀 접해온 것이 아닌데 말이죠. 강형욱씨를 둘러싼 논란이 왜 이토록 커질 수밖에 없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해 우리가 어..

일상 2024.05.22

허먼 멜빌의 고래 사랑, 그리고 자세함

2권(8절판), 3장(외뿔고래), 다른 말로 콧구멍고래--이번에도 희한한 이름이 붙은 경우인데, 아무래도 처음에 이 고래의 독특한 뿔을 뾰족하게 솟은 코로 오인했기 때문인 것 같다. 4.8미터 남짓한 몸길이에 뿔의 길이가 평균 1.5미터이며, 간혹 3미터가 넘거나 심지어 4.5미터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이 뿔은 송곳니가 턱 바깥쪽으로 길게 자란 것이며, 수평에서 조금 아래로 기울어졌다. 그런데 왼쪽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서투른 왼손잡이를 연상시키면서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 뿔인지 창인지 모호한, 상아 같은 이것의 구체적인 목적이 뭔지는 답하기 어렵다. 외뿔고래가 먹이를 잡기 위해 그걸 갈퀴처럼 이용해서 바다 밑바닥을 긁는다고 말하는 선원들도 있지만, 황새치나 돛새치의 칼날처럼 사용되는 ..

도서 2024.05.21

서울대 N번방 사건과 우리의 탄식

https://v.daum.net/v/20240520205040890 서울대판 'N번방' 터졌다…피의자·12명 여성 피해자 모두 동문'서울대판 N번방' 사건이 나왔다. 10여명이 넘는 피해자와 피의자 모두 서울대 출신으로 확인됐다. '텔레그램'을 통해 디지털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점에서 과거 'N번방 성 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v.daum.net 인공지능 시대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조금 더 써볼까 하고 책을 뒤적이다가, 기사를 보고 그만 책을 덮었습니다. 우리 시대에 정말 필요한 것은, 인공지능 시대에 직장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는 일머리나 사고력 그 자체는 아닌 것 같아서요. 학교 교육의 지향점?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의대 지망생들을 위해 과학 수학 과목을 모두 놓지지 않고 수강할 수 ..

교육 2024.05.20

외로움과 긴 수염고래

다음은 내가 만난 외로움들이다. 16개월 평생 어머니와 떨어져 본 일이 없는, 아빠와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된 아기, 엄마 옆이 아닌, 자신의 방에서 혼자 자겠다는 소녀가 보낼 밤시간, 새로운 만남을 준비하는, 아직 상대의 마음을 확인하지 못한 여인, 뒤늦게 베필을 만나 결혼을 앞둔 신부의, 이유 모를 불안감, 평생 의지하던, 이민을 준비 중인 아들을 지켜보는 아비 그리고 세상 모든 인생들. 긴 수염고래는 무리 지어 살지 않는다. 사람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이 고래도 고래를 싫어하는 것 같다. 수줍음이 많고 늘 홀로 다니며, 더없이 외지고 음침한 바다에서 느닷없이 수면으로 솟구쳐 사람을 피해 황량한 벌판에 돋아난 길쭉한 풀처럼 한 가닥의 물기둥을 곧게 뿜어 올린다. 놀라운 힘과 속도로 헤엄치는 능..

일상 2024.05.19

<150년 하버드 사고력 수업> 독서일기 #2 - 지적 대사 증후군

오늘 을 통해 읽은 내용 중 얻은 교훈은 지적 대사 증후군을 경계하고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라는 것입니다. 지적 대사 증후군의 용어 소개와 저의 관련 경험, 원인과 해결 방안의 순서로 글을 작성하보려 합니다. 1. 지적 대사 증후군이란 지적 대사 증후군은 마치 몸 안으로 들어오는 에너지원은 과잉이나 소화 배출량은 적어 내장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아진 몸의 상태에 비유하여 사람들의 지적 활동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용어다. 넘쳐나는 정보를 받아들이나, 이를 자신의 생각으로 정리하여 쓰거나 말하지는 못하는 이러한 증상은, 정보 과잉 시대에 더욱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적 대사 증후군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관점을 정립하여 생각을 글로 정리해낼 수 있으려면, 양질의 정보를 선별..

도서 2024.05.18

<디어 에반 핸슨>과 거짓말에 대한 질문들

에반의 거짓말은 자의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상담의가 권유한 방법대로 자신에게 쓴 편지를, 자살한 아들이 쓴 것으로 착각한 코너의 부모님에게, 에반은 거짓말을 시작한다. 아니, 단지 사실을 말할 수 없었던 것일 뿐, 처음부터 적극적인 거짓말을 하지는 않는다. 에반 핸슨의 거짓말의 동인은 선의이다. 자신의 거짓말이 아들 및 오빠의 사망으로 인한 상실감을 극복하는 애도의 과정에 기여하고, 깨어진 가정의 회복을 도우며, 심지어 생명존중이라는 아름다운 물결이 퍼져나가는 것을 지켜보며, 에반은 적극적으로 거짓말을 시작하고, 이어나간다. 에반은 거짓말을 멈출 수가 없다. 스스로 장착한 가면으로 인해 짝사랑하던 코너의 여동생의 마음을 얻고, 그토록 갈구하던 대인관계 의사소통과 돌봄의 공..

문화 예술 2024.05.18

<150년 하버드 사고력 수업>과 참회록

진도 나가던 부분을 중간에 끊고 교생 선생님의 수업 실습을 위해 시간을 내어드려야 하는 상황이다. 나도 그런 실습과 하고 많은 실패의 과정을 거쳐 지금의 교사로서의 역량을 지니게 되었기에, 이러한 상황에 대해 선배 교사로서 불평을 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을 언급하는 것은, 수업 진도 운영에 대한 불안감 및 여타 염려(이를테면 제법 성공적이었던 역할극 수업 직후에 다소 따분하고 어렵게 여겨질 수도 있는 본문을 다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 너무 쉬운 영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아 계속 버벅거리며 수업을 진행하게 된 것에 대한 부끄러움 등과 같은)로 인하여 오늘 수업을 정말 마뜩잖게 진행하고 말았다는 점이다. 제 발 저림과 이불킥 송숙희의 에서 강조하고 있는, 글..

교육 2024.05.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