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170

학폭 학생 대학 진학 어려워진다

http://v.daum.net/v/20240505144758821 성균관대 “학폭 2호 학생? 안 받아요”…2026학년 대입부터 반영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출처=게티이미지 뱅크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부터는 학교폭력 가해 이력이 있다면 2026학년도 대입에서 ‘0점’ 처리 등과 같은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로 인v.daum.net https://v.daum.net/v/20240502173802952 “학폭 이력 있으면 0점 처리”…현 고2 학폭 가해자 대입 ‘초비상’현 고교 2학년이 내년에 치르는 2026학년도 대입에서는 학교폭력 가해 이력이 있는 경우 모든 대학의 모든 전형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주요 대학에서 학교폭력 관련 조치사항이 있는 수험생을v.daum.net 서강대학교와 성균관대학..

교육 2024.05.05

안전한 교실 만들기

어느 학급에서 안전하지 않은 분위기를 감지하였습니다. 영어의사소통능력이 뛰어나지 않은 학생들이 소리 내어 영어 문장을 읽을 때, 뒤에서 피식피식 웃는 소리가 들렸거든요. 처음 일어난 일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오늘은 특히 노골적이었죠. 영어에 자신이 없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용기를 내어 발표를 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것만 같았습니다. 밤에 잠이 안 올 수도 있을 것 같고요, 내일부터 영어 시간에는 차라리 그냥 엎드려 자는 척을 할까,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학생의 배움뿐만 아니라 전존재적인 자존감이 지속적으로 위협받는, 취약한 상황인 것이죠.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피식, 소리가 또다시 들려오자마자 얼굴과 음성의 웃음기를 거두고 말했습니다. 방금 누가 웃었니? 수..

교육 2024.05.03

안전한 학교, 그리고 안전한 교실

어제와 오늘, 서로 다른 선생님들과의 대화를 통해 안전한 학교 문화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신규 선생님이나 막 전입 온 선생님, 혹은 말 잘 듣는 유순한 누군가에게 궂은 일을 모조리 떠맡기는 학교 문화에서 개별 교사가 안전함을 느끼기란 어렵겠지요. 안전이 위협받을 때, 교사는 몸을 사리고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안전하다고 느낄 때, 교사는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하며 기량을 펼칠 수 있게 됩니다. 어느 집단에서 멋지고 미래지향적인 교육 활동이 일어나기 쉬울지를 예상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피드백 제공을 통해 안전한 교실을 구축할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평가에 앞서 연습의 기회 및 피드백 제공하기 다음의 학습일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 논술형 평가를 앞..

교육 2024.05.02

장애인의 날이 없어졌으면 좋겠다

제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4/20 장애인의 날 기념으로 진행하고 있는 에세이 쓰기 행사에 출품한 글을 몇 군데 교정을 본 후 올립니다. 참가상을 받고 싶은 마음도 물론 있었지만, 아이들과 생각을 공유하고 싶기도 하여 써보았지요. 글은 세상과 소통하는 좋은 도구이니까요.-------------------------------------------- 미국에는 어린이날이 없다. 어린이와 노약자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기독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탄생한 국가로서 기본적으로 어린이를 존중하는 문화를 지녔기에,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여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미국에서는 장애인의 날을 지정하여 기념하지 않는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곳에서..

교육 2024.05.02

실망한 학생들을 다독여주어야 할 때

시험이 너무 어려워서 학생들이 파김치처럼 풀이 많이 죽어있더라고요. 성실하고 예쁜 학생들이 2~30점대의 점수를 제법 받았거든요. 일단 선생님이 너무 미안하다, 사과했습니다. 약간의 뜸을 들인 후에, 질문을 던졌죠. 첫 번째 위로: 목표를 상기시켜주기 “여러분, 정확도 높게 번역해주는 거는 누가 다 해주죠?” “...파파고요.” “맞아요. 우리의 영어 공부의 목적이 정확한 암기나 이해에 있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기계가 대체할 수 있는 일만 할 수 있게 되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영어를 가지고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어야 해요.” 선생님의 의도가 학생들 기죽이기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학생들의 어깨가 아주 조금은 올라가더군요. 두 번째 위로: 복수(?)의 기회 주기 그리고 학생들에게 카타르시..

교육 2024.04.30

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부쳐 (feat. 본을 보인다는 것)

15년 이상 현장 경력을 가진 교사로서 시험문제를 한 번 내보았다. 1. 다음 중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된 소식을 듣고 학생이 보일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우리의 인권이 충분히 존중받고 있으니 이러한 법안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겠구나. 나. 학생의 인권에 대한 기본적 사항을 담은 조례가 폐지된 것을 보니 우리는 교권을 더욱 존중해 드려야겠구나. 다. 우리가 선생님들의 권리를 충분히 존중해드리지 않아 생긴 일이니 우리는 체벌을 포함한 벌을 받아 마땅해. 라.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되었으니 이제부터 선생님들이 우리를 예전보다 더욱 존중해 주시겠구나. 마. 사람들은 우리들의 인권에 관심이 별로 없구나. 우리를 존중해 줄 생각이 없는 사람들을 존중해 줄 필요가 있을까? 2. 다음 중 학생인권조례 폐지 소식을..

교육 2024.04.28

학습이 잘 일어나는 교실 #2 - 문학 작품의 매력에 빠져보시렵니까

중요하다고 느끼는 것을 배울 때, 추상적인 지식이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변하는 순간 학습이 잘 이루어진다. - 헨리 뢰디거 외, 중에서   세계 평화와 정의를 학습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글자로' 배우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이 지구 반대편 어떤 누군가의 문제가 아닌 '나'의 문제로 인식되는 순간, 비로소 진지한 탐구가, 학습이 시작된다. 그리고 문학은, 세상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느끼게 해주는 아주 좋은 장치이다.  소녀 시절에도 읽기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습니다. 단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엘리자베스 베넷이 됐다가, 도로시아 브룩이 됐다가, 이사벨 아처가 되곤 했지요. 가끔은 알료샤 카라마조프나 한스 카스토르프 혹은 홀든 코필드 같은 남자가 되기도 했습니다.- 매리언 울프..

교육 2024.04.25

평가 결과로 돌아본, 깊이 있는 학습에 대한 사유

시험 종료령이 울리자마자, 각 학급의 학생들은 일제히 탄성을 내질렀다. 시험이 많이 어렵게 느껴졌다는 뜻이었다. '시험 범위도 적은데 어법 문제도 안 내면 도대체 낼 문제가 없지 않나요?' 하던 아이들이 벌떼처럼 달려와서 '선생님 문제가 왜 이렇게 어려워요?' 하며 혀를 내둘렀다. 베베 꼬인 '이상한' 문제를 접한 때의 짜증이나 불쾌감과는 다른, 진지하게 충격을 받은 모습들이었다. 가능성 #1 - 학습자 수준에 대한 판단 착오 점수를 보니 평균이 작년에 비해 10점 가량 낮았다. 이것이 학생들의 수준이 작년에 비해 더 낮다는 것을 꼭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작년 중간평가에 비해 문항을 풀기 위해 요구되는 지적 수준이 더 높아졌고, 이것이 평균 점수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물론 학생들의 영..

교육 2024.04.24

글쓰기를 가르치는 네 가지 요령

헨리 뢰디거, 마크 맥대니얼, 피터 브라운은 에서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알려진 반복 읽기(rereading)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대안으로 '인출 연습(retrieval practice)'를 제안합니다. 교재를 수 차례 단순 반복하여 읽는 것(심지어 필자는 이를 '시간낭비'라는 과격한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보다는, 적용, 실습 등 실제로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는 훈련을 거치는 것이 학습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이죠.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운전면허 이론을 달달 외우는 행위와, 실제 운전 능력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할 수밖에 없잖아요. 글쓰기는 좋은 인출 연습에 해당됩니다. 이 내용은 어제 방영된 교실이데아에서 수능 시험의 한계를 지적하며, 차라리 에세이를 한 편 쓰도록 하..

교육 2024.04.22

협동학습 진행 수기 #2 - 영ㅇ어 재밌다

명필샘께 감사를 표했던 귀요미 학생의 최근 수업 후기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영어가 어려웠던 학생이 어찌하여 이번 수업에서는 즐거움을 느꼈을까요? 지난 시간에 끙끙거리며 해석했던, 제법 어려운 내용의 지문을 이번 차시에는 그림으로, 표로, 다이어그램 등 1)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2)친구들과 함께 했기 때문이랍니다. ※ 참. 이 수업은 어느 훌륭하신 선생님께서 또 다른 훌륭하신 선생님께 배운 방법을 전수받아, 제 수업에도 적용하고 있는 방식이랍니다. 정보 변환하기 + 선택권을 주기 + 협력을 유도하기정보를 다른 형태로 변환(transformation)해보는 활동은 고등정신능력을 요하는 좋은 활동입니다. 이 때, 표로 나타내 보자, 하는 식으로 정보를 인출할(retrieval) 형태를 지정해줄 수..

교육 2024.04.19
728x90